근로 관계 종료에 관에 근로기준법상 쟁점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0-25 17:45
본문
Download : 근로관계 종료에 관한 근로기준법상 쟁점.hwp
이는 근로자의 사직서 제출, 사용자가 수리시 합의퇴직과 동일한 效果(효과)를 가져 온다. 이는 근로자의 사직서 제출, 사용자가 수리시 합의퇴직과 동일한 效果(효과)를 가져 온다.
② 사직의 效果(효과) 발생시기
기간의 정함이 없는 경우 언제든지 사직의 의사표시 가능하다.설명
근로 관계 종료에 관에 근로기준법상 쟁점
Download : 근로관계 종료에 관한 근로기준법상 쟁점.hwp( 36 )
레포트/법학행정
근로 관계 종료에 관에 근로기준법상 쟁점
근로 관계 종료에 관에 근로기준법상 쟁점 , 근로 관계 종료에 관에 근로기준법상 쟁점법학행정레포트 , 근로 관계 종료 관 근로기준법상 쟁점
순서
근기법상 근로관계 종료에 관한 쟁점
Ⅰ. 들어가며
근로관계 종료는 크게 당사자 의사표시에 의한 종료, 자동적 종료사유 등이 있다 이와 관련하여 근기법은 해고에 대하여만 명문규정 두고 있으며, 그 밖의 종료사유는 노동법 기본원칙, 민법 등에 따른 해석에 맡겨진다.
3) 해고
근로관계 종료시키는 사용자의 일방적, 확정적 의사표시로 이에는 크게 통상, 징계, 정리(整理) 해고가 있다
2. 자동적 종료사유
1) 근로계약기간의 만료
① 기간의 정함 있는 경우
이 경우 근로계약기간 만료로 근로계약도 자동 종료되며, 별도 의사표시 없이, 해고예고 없이 근로계약이 만료된다된다. 이러한 사직의 效果(효과)는 사용자가 승낙한 날부터 효력을 발생시키며, 사용자가 특별한 의사표지 하지 않는 경우 통고 받은 날로부터 1월 경과시 사직의 效果(효과)가 발생한다.
그리고 그 중에는 일정사유 발생으로 당연 종료하는 것처럼 보이지만 실직적으로는 사용자의 일방적 의사표시에 의한 해고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형식적으로 판단해서는 안되며, 근로자 의사에 반하여 사용자가 일방적으로 종료하였는지 여부에 따라 실질적으로 판단하면 된다된다.
② 기간의 정함이 형식에 불과한 경우
근로계약이 수차…(투비컨티뉴드 )
근로,관계,종료,관,근로기준법상,쟁점,법학행정,레포트


다.
Ⅱ. 근로관계 종료의 사유
1. 당사자 표시에 의한 종료
1) 사직
① 의의
이는 근로관계 종료에 대한 근로자의 일방적 의사표시이며, 상대방 있는 단독행위이다.
그리고 그 중에는 일정사유 발생으로 당연 종료하는 것처럼 보이지만 실직적으로는 사용자의 일방적 의사표시에 의한 해고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형식적으로 판단해서는 안되며, 근로자 의사에 반하여 사용자가 일방적으로 종료하였는지 여부에 따라 실질적으로 판단하면 된다된다.
주급, 월급 등 기간으로 보수정한 경우 통고 받은 후 당기후 1기 경과시 사직의 效果(효과)가 발생하고, 기간의 정함이 있는 경우 부득이한 사유 있는 경우 종료가 가능하다.
② 사직의 效果(효과) 발생시기
기간의 정함이 없는 경우 언제든지 사직의 의사표시 가...
근기법상 근로관계 종료에 관한 쟁점
Ⅰ. 들어가며
근로관계 종료는 크게 당사자 의사표시에 의한 종료, 자동적 종료사유 등이 있다 이와 관련하여 근기법은 해고에 대하여만 명문규정 두고 있으며, 그 밖의 종료사유는 노동법 기본원칙, 민법 등에 따른 해석에 맡겨진다.
2) 합의퇴직
합의퇴직은 쌍방의 합의로 계속적 채권관계 장래에 향해 종료시키는 것으로 이와 관련해서는 별도 규정은 없으며, 의사표시와 관련된 민법규정이 적용된다된다.
Ⅱ. 근로관계 종료의 사유
1. 당사자 표시에 의한 종료
1) 사직
① 의의
이는 근로관계 종료에 대한 근로자의 일방적 의사표시이며, 상대방 있는 단독행위이다.